백중
백중은 음력 7월 15일로 백종, 중원 혹은 망혼일이라고도 부른다. 머슴날, 머슴의 생일, 호미 씻는 날, 상놈명절이라는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음식과 술을 나누어 마시며 농민들이 이 날 하루를 즐기며 보냈던 농민 명절이기도 하다. 백종이라는 명칭은 이 무렵 즈음에 과일과 채소가 많이 나와 일백여 가지의 곡식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또 망혼일이라고 불린 까닭은 이날에 돌아가신 선망 부모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상을 차리고 천신을 한 데 있는데, 이는 사찰에서의 백중의 의미와 가장 유사한 형태로 보인다. 사찰에서는 7월 15일에 하안거를 마치면서 영가 천도재를 지낸다.
백중의 시작은 「목련경」에 나오는 것처럼 목련존자가 부처님께 자신의 어머님을 고통에서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을 여쭈었고, 부처님께서 이에 대한 대답으로 우란분재를 설하신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이러한 백중은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시대나 고려시대에는 일반인까지 참여하는 큰 명저이었으나 조선시대 이후로는 주로 사찰에서만 행해지고 민간에서는 거의 소멸되었다. 백중에 사찰에서 차리는 음식으로는 각종 과일류와 오이김치, 산채나물과 밀전병, 각종 부각과 묵 등이 있다.
추석
여러 가지 명절 중에서도 가장 풍성한 명절인 추석은 음력으로 8월 15일에 해당한다. 신라 3대 유리왕 때부터 이어져 내려온 우리 민족의 큰 명절 중 하나이다. 한가위 즈음에는 갖가지 곡식과 과일이 여물고 무르익어서 먹거리가 풍성하고, 농사도 끝나 일이 많지 않아 시간적으로 한가하며, 날씨 역시 좋아서 춥지도 덥지도 않은 가장 알맞은 계절이라 하여 예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라는 말이 내려오고 있다. 이때 햇곡식으로 빚은 술, 신곡주와 갓 수확한 햇과일로 제물을 차려서 조상께 제사를 올리는 추석 차례를 지낸다. 또한 추석 차례에는 철 이르게 익는 벼인 올려로 만든 오려송편과 햅쌀로 만든 술과 토란국 등도 올린다.
사찰에서는 신도들 중 가정에서 차례를 지낼 수 없는 조상을 합동차례의 형태로 함께 제를 올린다. 이때 사찰의 불공음식은 상단에는 육법공양에 준해서 떡, 과일, 과자, 수정과, 식혜, 차를 올리는데 특히 녹두전과 송편을 올리는 점이 특이하다.
동지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2일 또는 23일에 해당하는 데, 24 절기 중에 22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작은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음력으로는 11월로, 11월을 동짓달이라고 부른다.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동지가 되면 일 년 중에 밤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데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로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북반구는 동지를 기점으로 이후로는 점점 낮이 길어지는 지고, 이 무렵부터 추위도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렇듯 동지부터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고대인들은 이날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한다고 여기고 축제를 벌이며 태양신에 대한 제사를 지냈다.
옛날에는 동짓날에 서당에 입학하였다. 동지를 지나면서부터 낮의 기운이 점점 강해지니 아이들도 점점 학문을 밝게 깨우쳐 커나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또 달력을 서로 선물하기도 하고, 동짓날의 날씨를 보며 다가 올 새 해의 농사를 점치기도 하였다. 동지에는 보통 새알심을 넣어 팥죽을 쑤어 먹는다. 또 동지가 동짓달 초승(음력 11월 1일부터 10일까지)에 드는 해에는 '애동지', '오동지', '아기동지'라고 하여 팥죽을 먹지 않는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 애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아기가 있는 집의 아기에게 좋지 않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애동지가 되는 해는 윤달이 있는 해와 대체로 일치한다. 애동지가 음력 11월 1일부터 10일까지이고, 중동지는 11일부터 20일까지이며, 11월 21일 이후에 드는 동지는 노동지라고 부른다.
동지의 또 다른 풍습으로는 '동지헌말'이 있다. '풍정'이라는 이 풍습은 동짓날 집안의 며느리들이 시할머니, 시어머니, 시누이, 시고모 등 시집의 여자들에게 버선을 지어 바치는 것이었는데, 형편이 되면 어른의 옷을 지어드리기도 하고 아이들의 옷을 지어 주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럴 형편이 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버선만큼은 꼭 지어 주었다고 한다. 이렇게 신고 다니는 물건을 어른께 지어 올리는 것은 수복이 늘어나 오래 살길 기원하는 뜻이 있었다. 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부터는 그림자도 길어질 텐데, 새 버선을 신고 길어지기 시작하는 그림자를 밟고 다니면 수명이 길어진다 여겼던 것이다.
동짓날 사찰에서는 민가와 풍습과 마찬가지로 팥죽을 쑤어 먹는데, 액운을 막는 불공도 올린다. 동지에 팥죽을 먹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에 나오는데 공공씨의 아들이 죽어 역귀가 되었는데, 이 역귀가 사람들을 죽어 나가게 만드니 살아생전에 싫어하던 팥으로 죽을 쑤어 대문에 뿌렸고, 그제야 그 역귀가 물러갔다는 이야기다. 동지팥죽은 먹기 전에 먼저 사당에 놓고 차례를 지낸 뒤 방이나 마루 등에 팥죽을 한 그릇씩 떠다 놓은 뒤 대문이나 벽에 팥죽을 뿌려야 한다. 이 풍습은 팥의 붉은색이 액을 막고 잡귀를 없애준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또한 동지팥죽에는 반드시 찹쌀로 만든 옹심을 넣어 팥죽을 쑤는데 이때 옹심이는 먹는 사람의 나이대로 넣어 먹는 풍습도 있다.
'사찰음식 > 사찰음식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음식과 수행 (1) | 2024.11.08 |
---|---|
목련경 (0) | 2024.11.02 |
명절과 사찰음식 1 - 설, 초파일, 단오, 칠월칠석 (2) | 2024.10.29 |
일본의 사찰음식 역사 (2) | 2024.10.28 |
사찰음식의 분류 2 (2) | 2024.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