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음식/사찰음식에 관하여

발우공양

by 오몽실 2024. 10. 15.

 

발우공양
발우공양 (출처-불교저널)

 

 

 발우공양(鉢盂供養)이란 승가의 공양법, 즉 스님들이 평소 식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발우는 스님들이 공양할 때 사용하는 식기로 '바리때'라고 하기도 한다. 발우는 나무를 깎아 만든 뒤 옻칠을 한  '목발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면서  요즘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뿔 발우'도 있다고 한다. '와 발우'라고 도자기로 만든 것도 있지만 너무 무거워 실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발우는 보통 4개의 그릇이 한 세트로 이루어져 있고 식사 후 크기별로 차례로 포개어 놓으면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4개의 그릇을 하나처럼 보관할 수 있다. 크기 순으로 가장 큰 어시발우(밥을 담음), 국발우(국을 담음), 청수발우(물을 담음), 그리고 가장 작은 찬발우(반찬류를 담음)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지옥, 아귀, 아수라에 있는 중생들을 위한 시식 발우를 더하여 5개 1조로 구성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발우를 싸는 발우보, 무릎수건, 발우받침, 수저집 등을 갖추면 발우공양을 위한 모든 기구가 준비된 것이다. 

 

 발우공양은 평등하다. 사미스님부터 똑같은 음식을 똑같이 나눠 먹는다. 

발우공양은 설거지가 없다. 숭늉으로 각자 발우를 씻어 먹는다. 

 

 공양을 알리는 목탁 소리가 들리면 사찰 내 대중 스님들은 하던 일을 멈추고 공양을 하기 위해 큰 방으로 모인다. 발우공양은 공동체의 단결과 화합을 이루는 공동 공양이다.

 

발우공양 순서와 방법

 

1. 죽비를 세 번 친다 : 합장하고 발우를 편다.

2. 발단(발우 깔개)을 펴고 발우를 작은 것부터 차례로 꺼낸다. 

    이때 달그락 거리는 그릇 소리가 나지 않게 조심해서 꺼낸다.

    몸 가까운 쪽에 밥과 국그릇을 놓고 그 위 쪽에 찬그릇과 청수그릇을 놓는다. 

 

3. 공양을 행반할 소임자들이 청수물(발우를 헹굴 물), 밥, 국, 반찬 순서로 행반(음식을 나누어 줌)한다. 

4. 먼저 어시발우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차관(주전자)에서 받은 뒤 그 물로 차례차례 나머지 발우도 헹군다.

5. 깨끗이 헹군 발우에다가 공양을 나누어 주는 소임자들로부터 음식을 받는다. 

    첫 번째 행반때는 소임자가 주는 만큼 받고, 두 번째 행반 때는 반찬을 배식하는 쟁반이나 찬상을 옆사람에게 차례로 이동시키면서 배식받은 음식의 양을 덜거나 보태거나 하며 각자의 식사 양을 조절한다. 이때 말은 필요 없다. 

6. 하나의 찬발우에 여러 가지 반찬을 먹을 만큼의 양만 직접 정갈하게 담는다. 

 

7. 죽비를  한 번 친다. 밥을 담은 발우를 두 손으로 눈썹 높이까지 든 상태로 봉발게를 외운다. 

8. 다시 죽비를 한 번 친다 : 발우를 내려놓고 오관게를 외운다. 

9. 헌식을 한다. 헌식은 눈에 보이거나 안 보이거나 배가 고픈 중생에게도 밥을 나눈다 의미로 밥알을 서너 알 떠서 따로 놓는 것을 말한다. 헌식을 하고 나면 생반게를 외운다.

 

10.죽비를 세 번 친다 : 합장하고 공양을 시작한다. 공양할 때는 너무 빨리 먹거나 너무 느리게 먹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속도를 맞춘다. 또 공양을 마친 뒤 발우안쪽을  닦기 위해 김치 한쪽은 반드시 남겨 둔다.

11. 공양이 어느정도 끝나갈 무렵에 죽비를 두 번 치면 숭늉을 돌린다

12. 공양이 끝나면 숭늉과 김치 한쪽을 이용해서 발우에 남은 음식찌꺼기를 닦아낸다. 다 닦으면 김치와 발우 닦은 물을 먹는다.

 

13. 죽비를 한번 치면 찬상을 마루로 물리고 청수물을 이용해 손으로 다시 발우를 닦고 헹군다. 수저도 깨끗이 닦는다. 퇴수(더러워진 물) 걷는 스님이 퇴수동이를 들고 오면 퇴수를 살살 가만히 붓는다. 이때 그릇 바닥에 가라앉은 찌꺼기는 퇴수동이에 넣지 않고 자기가 마신다.  퇴수가 담긴 퇴수동이를 건물 천장에 쓰인 경전이나 다라니 밑에 두고 난 뒤 절수게를 외고 천숫물을 버린다. 물에 천장의 경구나 다라니가 그대로 비칠 만큼 발우 씻은 물이 깨끗해야 한다.

 

14. 발우수건으로 수저와 발우의 물기를 닦고 발우를 포개어 처음처럼 묶어 둔다.

15. 공양이 끝나면 죽비 일성에 합장을 하고, 식필게를 외운다.

 

 

 

2025.01.10 - [사찰음식/사찰음식에 관하여] - 발우공양과 관련한 게송

 

발우공양과 관련한 게송

스님들이 사찰에서 공양(식사)을 하실 때 하는 의식인 발우공양은 식사가 단순히 음식 섭취나 맛을 추구하는 행위가 아니라 수행의 연장선상으로 여기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처음부터 끝까

madammong.com

 

'사찰음식 > 사찰음식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음식 조리자의 정신 - 삼덕  (0) 2024.10.16
스님들의 소임  (3) 2024.10.15
한국의 사찰음식  (1) 2024.10.15
사찰음식의 역사  (4) 2024.10.15
사찰음식의 특징  (4)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