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음식64

공양(供養) 공양이란 본래 어떤 대상에 대하여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고 공물의 바치는 것을 의미하는데,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고 하기도 한다.  스님들의 식사를 공양이라 하는 것에도 성불과 중생교화의 뜻이 담겨 있다.   2024.11.08 - [사찰음식/사찰음식에 관하여] - 사찰음식과 수행 사찰음식과 수행수행자의 수행과 사찰음식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이와 관련해서는 몇 가지 경전을 살펴보면 그 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먼저 「수능엄경」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이 모든 중생madammong.com     공양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세상에 전하거나 경전을 보급하는 법공양, 세간의 재물을 불법승 삼보께 공양하는 재공양 등이 있다. 그리고 특별히 육법공양이라고 해서 6가지의 공양물을 .. 2025. 1. 13.
발우공양과 관련한 게송 스님들이 사찰에서 공양(식사)을 하실 때 하는 의식인 발우공양은 식사가 단순히 음식 섭취나 맛을 추구하는 행위가 아니라 수행의 연장선상으로 여기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처음부터 끝까지 1시간가량 걸리는 이 의식에는 다수의 게송을 대중 스님들이 다 같이 읊게 되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음식을 대하는 수행자의 마음을 조금 더 알 수 있다. 발우공양 의식에는 비교적 많이 알려진 오관게 이외에도 여러 게송이 등장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2024.10.15 - [사찰음식/사찰음식에 관하여] - 발우공양 발우공양발우공양(鉢盂供養)이란 승가의 공양법, 즉 스님들이 평소 식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발우는 스님들이 공양할 때 사용하는 식기로 '바리때'라고 하기도 한다. 발우는 나무를 깎아 만든 뒤madam.. 2025. 1. 10.
부처님 당시와 초기교단의 식생활 1. 석가모니 부처님 - 석가모니 부처님은 출가하신 후 6년 동안 고행을 하시다 깨달으셨는데, 이때 6년 동안 '일마일맥(一麻一麥,깨 한 알과 보리 한 알)으로 고행정진을 하셨다. 그러다가 극한의 고행으로는 도에 이를 수 없음을 아시고는 수자타의 유미죽(우유를 넣고 끓인 죽)을 드시고 원기를 회복하신 뒤  21일 만에 진리를 깨치신다.    2.  초기 교단의 사찰음식   - 초기 교단의 사찰음식 종류로는 크게 시약, 시분약, 고기, 칠일약, 진형수약이 있다.      시약(時藥,야바칼리카)이란 동틀 무렵부터 정오까지 비구들이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을 말하는데, 시약에 해당하는 음식이라 하더라도 정오가 지나서 섭취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시약의 종류에는 다섯 가지 가단니, 다섯 가지 포사니, 그리고 다.. 2025. 1. 7.
향적세계(중급) 강사스님 특강 - 국수냉채, 오이지, 무말랭이 땅콩조림 중급의 정규과정은 강사 스님 레시피 특강으로 마무리됩니다. 중급 수업의 강사 스님이신 동희스님의 레시피로 배워 본 국수냉채, 오이지, 무말랭이 땅콩조림입니다.  ● 1T는 15ml, 1t는 5ml, 1C은 200ml(cc)입니다.●  '간장'은 진간장, 양조간장이 아닌 집간장, 조선간장 혹은 국간장이라고 불리는 재래간장입니다.● 채수는 건표고버섯과 다시마를 넣고 끓인 국물인데, 무를 추가 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특강은 스님의 개인 레시피에 기반한 요리라서 상세한 계량이나 조리과정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1. 무말랭이 땅콩조림 - 저의 시어머님표 무말랭이(오구락지) 에는 볶은 땅콩이 들어가는데, 결혼해서 처음 그 반찬을 얻어먹어 보고는 너무너무 맛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어머님표에는 볶은 땅콩이었던 .. 2024.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