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음식48

사찰음식의 분류 2 나물  나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사찰에서는 직접 재배하여 섭취하기도 하고, 사찰이 주로 산중에 위치한 점을 이용하여 주변 산이나 들에서 야생하는 식물을 채취하여 식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생절이는 익히지 않은 나물을 생으로 양념한 것을 말하고 무침은 주로 익힌 나물을 양념한 것을 뜻하며 볶음은 말 그대로 나물을 기름이나 채소물에 볶아 익혀 먹는 것을 말한다.  나물의 재료는 무, 콩나물, 시금치, 표고버섯, 쑥갓, 미나리, 오이, 상추, 가지, 고사리, 도라지, 더덕, 시래기처럼 익숙한 것부터 원추리, 비름, 머위대, 석이버섯, 능이버섯 같이 조금은 특별한 것들도 있다. 사찰에서 나물을 양념할 때는 인공조미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재래식 간장, 된장, 고추장, 들기름, 참기름, 들깻가루와 참깨가루를 .. 2024. 10. 25.
사찰음식의 분류 1 한국 사찰음식의 주식에는 밥, 죽 그리고 국수 같은 면류가 있고 부식에는 국물음식과 나물, 김치, 장아찌 등이 있다. 그리고 부각은 사찰의 별미라 할 수 있고 그 이외에 차와 다식이 있다.  밥「사분율」과 「마하승기율」에는 밥에 관한 내용이 나오는데 전자는 승려의 음식을 상식, 죽식, 병인식으로 분류하였고, 후자는 상식을 다시 시약, 시분약, 칠일약, 진형수약의 네 가지로 나눴다. 상식에서의 시약이란 씹을 수 있는 딱딱한 음식을 뜻하는데 오전 중에 먹는 음식이며, 스님들의 정찬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생존해 계실 때 매일 한 끼의 공양만 먹는 '일종식'을 하셨는데 그때가 시간상으로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여서 오늘날 사시예불을 드릴 때 전각의 부처님께 식사 공양을 올리고 있다.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을 '.. 2024. 10. 25.
한국 사찰음식의 역사 - 삼국시대부터 현대까지 삼국시대삼국시대에는 농경이 확립된 사회였기에 오늘날의 식생활과 유사하게 쌀, 보리, 콩 등을 주식으로 하고 장류, 장아찌를 부식으로 하는 식생활이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은 각각 고구려 소수림왕(372년), 백제 침류왕(384년), 신라 법흥왕(528년) 시절에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초기의 불교는 왕실의 보호 속에서 성장하여, 궁중음식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왕실과 상류층을 중심으로 불교가 퍼지면서 불살생의 불교 계율에 입각하여 통치를 하려고 했다. 그래서 일반 국민들의 식생활에 사찰음식이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육식을 해서는 안된다'는 불교의 계율이 국시가 된 것이다. 그리고 왕실과 귀족들이 앞다투어 채식을 권장하였고, 이를 통해 불교적 식생활은 일반 민가에 널리 퍼지게 되었다. 하지만 신라.. 2024. 10. 18.
계절별 사찰음식 - 가을과 겨울 가을 가을은 입추부터 입동까지를 말하며, 달력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에 해당된다. 가을은 만물이 영글고 결실을 맺는 풍성한 계절이다. 이 계절에 우리 몸은 폐와 대장의 기운이 왕성해지고, 반대로 간과 담의 기운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환절기라 기침이나 가래가 생기기 쉬운 계절이기도 한데, 그럴 때에는 더덕과 땅콩이 폐의 기운을 돕고 음기를 보충해 줘서 도움이 되기도 한다.  가을의 별미 사찰음식으로는 떡갈나무잎밥, 버섯밥, 감잎밥, 무콩나물밥, 토란국, 우엉탕, 능이버섯콩나물국이 있다. 특히 아욱국은 '가을 아욱은 문 걸어 잠그고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 시기의 아욱이 부드럽고 맛이 좋다. 사찰에서는 식량이 귀할 때 아욱수제비를 만들어 별미로 먹곤 하였다. 또한 무전, 배추 전, 우엉 전, 박.. 2024.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