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3

고추장 담기 - 고춧가루 1근으로 만드는 찹쌀고추장 고추는 임진왜란이 일어난 18세기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추장도 18세기가 되어서야 만들어지기 시작한 양념이지요. 제육볶음, 각종 장아찌, 떡볶이, 약고추장 등 여기저기에 두루 쓰이는 고추장은 의외로 만들기 어렵지 않아요.   한국사찰음식문화원 특강에서 동원스님께 배운 찹쌀고추장 만드는 법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고추장을 담는 시기는 보통 양력 11월부터 3월까지로 벌레가 생기지 않는 서늘하고 추운 기간이에요. 1964년에 발행된 고 방신영 선생님의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 책을 보니 찹쌀고추장, 보리고추장, 수수고추장, 팥고추장, 무거리고추장, 떡고추장 등 여러 고추장은 모두 음력 1월이나 2월에 담는다고 쓰여 있습니다.   저는 정월(음력 1월)에 고추장 수업을 듣고 담.. 2025. 3. 12.
[세시명절] 이월 초하루 - 음력 2월 1일, 머슴날, 노비일 이월 초하루는 음력 2월 1일을 말하는데, 올해 2025년의 머슴날 혹은 이월초하루는 양력으로 2월 28일입니다.  이월 초하루는 과거 농경사회에서 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로 여기고 명절로 삼아, 한 해 농사가 잘 되길 기원했다 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열심히 농사일을 해야 하는 머슴과 노비 같은 일꾼들을 위로하는 행사를 벌였기에 '머슴날' 또는 '노비일'이라고도 불렀다네요.  이월 초하루 무렵이면 계절이 겨울에서 봄으로 바뀌며 농사 준비를 활발히 하게 됩니다. 그래서 넓은 땅을 가진 양반들은 농사지을 일꾼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기 위해 그들에게 새 옷도 주고 음식과 술을 베풀기도 했답니다. 또 머슴들은 농악을 연주하며 먹고 마시면서 즐거운 하루를 보냈고요.  조선의 22대 임금인 정조 임금부터는 궁중.. 2025. 3. 8.
양배추 들기름 무침- 양배추 샐러드 만드는 법, 소스 만들기, 양배추 세척과 보관, 최유라 양배추 요리 이전에 방송인 최유라 님의 유튜브 채널인 '헤이 유라 Hey Youra'에서 본 '브로콜리 깨무침'을 포스팅 한 적 있었죠? 2025.01.30 - [Mong's table/오늘 뭐 먹었니?] - 브로콜리 깨무침 - 간단하고 맛있는 브로콜리 반찬 브로콜리 깨무침 - 간단하고 맛있는 브로콜리 반찬브로콜리를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는 레시피를 소개해 드릴게요. 몸에 좋다 해서 자주 먹고는 싶은데, 어쩐지 데쳐서 초장에 찍어 먹는 것만 떠오르는 브로콜리를 이렇게madammong.com   오늘 소개해 드릴 음식도 '헤이유라'에서 본 건데, 너무 유용하고 맛있고 간단한 반찬입니다. 바로 양배추 들기름 무침인데요. 이름은 그냥 제가 지어봤어요. 이렇게 지은 이유는 몸에 좋은 양배추와 들기름을 .. 2025. 3. 7.
멸치볶음 - 아이가 좋아하는 멸치볶음 레시피, 견과류 멸치볶음, 대추 멸치볶음, 대추 요리 멸치볶음은 우리 밥상에서 오랫동안 든든한 반찬 역할을 해오고 있죠? 그래서인지 여러 가지 버전이 있어요. 멸치 크기에 따라, 넣는 양념에 따라 또는 멸치 이외의 부재료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저는 오늘 아이가 먹기 쉬운 작은 볶음용 멸치를 이용한 멸치볶음을 만드려고 합니다.    처음엔 평소대로 집에 있는 호두나 해바라기씨 같은 견과류를 넣어 만드려고 했는데, 얼마 전 기사에서 '멸치볶음과 견과류의 궁합'을 보고 나서는 견과류 대신 다른 걸 넣기로 했습니다.  그 기사에 따르면 호두, 아몬드 등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피틴산 성분이나 땅콩에 들어있는 수산 성분은 멸치에 들어 있는 칼슘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흡수시키지 않고 바로 배설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해요. 그래서 흔히 만들어 먹는 멸치 견과류 볶음은 음식 .. 2025. 3. 6.
[자연] 벌새와 박각시 나방 - 운 좋은 실제 목격담 지지난해 가을에 의성 고운사에 갔다가 박각시나방을 처음 봤습니다. 빠른 날갯짓으로 공중에 정지한 상태로 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벌새다."라고 소리치며 바라봤는데 자세히 보니까 새라고 하기엔 어딘가 달라 보였어요.  옆에서 같이 지켜보던 아이가 "나방 같은데...." 하길래 다시 가만히 보니, 정말 통통한 나방 같아 보였어요.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박각시 나방이라는 나방이었습니다.  아래에 제가 찍은 사진을 보면 박각시나방의 긴 혀(?) 같은게 쭉 나와있는게 보여요. 아마도 꿀을 빨아 먹는거겠죠?    그 당시에 'TV에서만 보던 벌새를 실제로 보나' 해서 기뻤는데, 생각지도 못하게 더 신기한 나방을 보다니! 박각시나방을 처음 본 날도 신나고 기뻤지만, 그로부터 몇 달 뒤 운 좋게도 벌새도 실제로.. 2025. 3. 5.
보리막장 - 집에서 보리막장 만들기 / 보리막장 만드는 법과 활용, 보관법 작년에 보리막장을 만들어 먹어보려고 생전처음 집에서 시도 해 본 적이 있어요. 아이와 함께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되었는지 실패를 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재미난 추억과 실패의 경험 하나는 쌓을 수 있었어요.  올해는 운 좋게도 한국사찰음식문화체험관에서 개설한 장 만들기 특강을 통해 보리막장을 제대로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강사스님은 동원스님이셨어요.  보리막장을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는 엿기름 200g,  보리쌀(늘보리) 1.5C,  막장용 메줏가루 500g, 집간장 1C, 조청 1/2~1C, 고춧가루 150g, 고추씨가루 200g, 굵은소금 2/3C입니다.      [만드는 방법] 1. 가장 먼저 할 일은 보리를 삶아 두는 거예요. 늘보리쌀을 3시간 이상 푹 삶아 둡니다. 보리쌀을 푹 잘 삶아야 막장 맛이 .. 2025. 3. 4.